제목 | 오늘의 도서관,6월호_청년학개론 '책 읽는 대한민국人' 한국화가 김현정의 "젊음을 그리다" |
---|---|
영문 | Today’s Library, Korean readers to draw youth |
중문 | 今天的图书馆, 读书的大韩民国,画出年轻 |
년도 | 2016 |
코드 | B2 |
수량 | ![]() ![]() |
1. 노래, 창의의 소리
제 1장 감각의 즐거움
-저 소리를 들어라
-산이 깨어나고 있어요
-보여 주는 것, 보고 싶은 것
제 2장 청춘의 감수성
-높고 푸른 빈 방
-배가 텅 비었을 때 진정으로 꿰뚫어 볼 수 있음을
-너의 노래를 불러라
2. 거울, 창의의 내면
-제 3장 행복의 조건
-그는 나에게서 거울을 보고 있었던 거였다
-'그'라고 말하는 것은 '나'라고 말할 수가 없기 때문이네
-'사랑에 빠진다'는 말은 모순이다
제 4장 자유의 무게
-스스로 택한 감금은 강제적인 감금보다 훨씬 더 힘들다네
-진리가 너희를 자유롭게 하리라
-자유로운 삶을 위해서는 약간의 용기가 있어야 한다
3. 춤, 창의의 몸짓
제 5장 일상의 선택
-나는 구조의 희생양이다
-얼마나 더 업그레이드 돼야 밖으로 나갈 수 있을까
-오직 인간만이 춤출 수 있다
제 6장 시장과 가치
-인센티브가 인간을 움직이는가
-빵 한 덩이에서 삶은 시작되고
-'균 본위제' 빵집의 실험
정호승의 시 '밥값'은 '어머니/ 아무래도 제가 지옥에 한번 다녀오겠습니다'라는 구절로 시작한다[서적]_<오늘의 도서관> 6월호_청년학개론 '책 읽는 대한민국人' 한국화가 김현정의 "젊음을 그리다"
안녕하세요.
한국화가 김현정입니다.
오늘은 청년학개론이라는 책에 대해 말하려고 합니다.
예술가는 자신이 속해 있는
사회에 대해 이야기합니다.
때문에 예술가는 누구보다 사회에 대해
잘 알아야 한다고 생각하며
책은 예술가에게 큰 도움이 된다고
생각합니다.
한국화가 김현정의 책장
저 또한 도서에 관심이 많은데요
감사하게도 <오늘의 도서관>에서
'책 읽는 대한민국人' 이라는 코너에
초대해주셨습니다.
▽아래는 <오늘의 도서관>6월호 내용입니다.
<오늘의 도서관> 6월호 한국화가 김현정
'책 읽는 대한민국人' 코너에서
이종식 위원님의 <청년학개론>
도서를 추천하였습니다.
사격에서 총의 조준점과
탄착점이 일치되도록 조준구를
미세하게 조정하는 것처럼
나의 개똥철학이 순간순간
비뚤어지게 나가는
내 삶의 방향을
올바른 탄착점으로
이끌 수 있다.
- <청년학개론> -
저 또한 청년으로 지금까지 오기까지
많은 우여곡절을 겪었습니다.
하지만 책의 내용처럼
저만의 대중과 호흡하는 미술,
그리고 젊은 작가와
함께하는 미술을 하고 싶다는
저만의 철학이 지금까지
이끌어 온 것 같다는 생각을 할 수 있게
이끌어주었습니다.
이종식 지음 <청년학개론>
이 책의 저자인 이종식 위원님은
제18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
청년특별위원회 위원이자
전 동아일보 기자. 연세대학교에서
사회복지학을 전공하셨습니다.
또한 <청넌학개론> 도서에는
내숭이야기 작업도
실려있답니다.^^
청년위원회 설립을 준비하면서 또 한 명의 청년인
팝쿠튀르(Pop coutrue)작가
김현정을 만났다.
조선시대 풍속화를 연상시키는 그의 작품은
남다른 에지가 있었다.
대표적인 작품은
<아차 我差>다.
-<청년학개론>에서 발췌-
▽아래는 인터뷰 촬영 현장입니다.
국립중앙도서관 <오늘의 도서> 한국화가 김현정
국립중앙도서관 <오늘의 도서> 한국화가 김현정
좋은 작업을 해주신
글_최민영 에디터님
사진_정민영 포토그래퍼님
감사합니다.^^
김현정 Kim, Hyun - Jung / Artist
COPYRIGHT ⓒ 한국화가 김현정, All Rights Reserved.